2025 지하철 요금 인상, 한 달 교통비 얼마나 늘었을까?
2025년 6월 28일, 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인상됐습니다.
한 번쯤 타는 교통수단이 아닌, 매일 출퇴근·등하교에 꼭 필요한 인프라인 만큼 이번 인상은 시민들의 실질적인 체감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얼마나 요금이 올랐는지, 한 달 교통비가 얼마나 늘었는지, 그리고 교통비를 조금이라도 아낄 수 있는 방법까지 정리해 봅니다.
🚇 얼마나 올랐을까?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내용
서울시와 수도권 도시철도 운영기관(서울교통공사, 코레일 등)은 운영 적자와 인건비 상승을 이유로 요금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 성인 교통카드 요금: 1,400원 → 1,550원
- 청소년 요금: 800원 → 900원
- 어린이 요금: 500원 → 550원
이번 인상은 2015년 이후 약 10년 만의 인상입니다.
2023년 요금 인상은 거리 비례 구간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이번 인상은 실질적으로 모든 시민이 체감하는 ‘기본요금’ 기준으로는 10년 만의 조정입니다.
또한 서울시는 2026년 2차 인상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지요.
한 달 교통비, 얼마나 늘었을까?
지하철을 주 5일 왕복으로 이용하는 성인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 기존: 1,400원 × 2회 × 22일 ≒ 61,600원
- 현재: 1,550원 × 2회 × 22일 ≒ 68,200원
➡️ 한 달에 약 6,600원 인상된 셈입니다. 버스 환승까지 포함되면 이보다 더 많아질 수 있죠.
💳 교통비 절약, 지금 가능한 방법은?
요금이 인상된 지금, 작은 차이지만 꾸준히 실천하면 도움이 되는 절약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① 카카오페이 모바일 선불 교통카드
실물 카드 없이 스마트폰으로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입니다. 지하철, 버스, 택시, 고속도로 통행료까지 모두 하나로 해결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어요.
- 충전 수수료 없음
- K-패스 등록 시 정립금 지급
- 청소년 요금 자동 적용
- 선불/후불 모두 지원
② K-패스 제도 활용하기
정부에서 운영 중인 대중교통 정립금 제도인 K-패스는, 월 일정 금액 이상 사용 시 일부를 정립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 월 4만 원 이상 사용 시, 최대 11,000원 정립
- 청년·서민층 대상, 지자체별 상이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③ 교통비 가계부 앱 활용
카카오페이, 토스, 페이코 등의 앱에서는 교통 이용 내역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 내가 한 달간 교통에 얼마나 쓰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도 낭비를 줄일 수 있어요.
시민 반응은?
요금 인상에 대해 많은 시민들이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 “물가도 오르는데 교통비까지 오르니 부담된다.”
- “10년 만의 인상이니 이해는 되지만, 월 1~2만 원 차이는 작지 않다.”
- “이참에 모빌리티 앱이나 할인 제도 적극 활용해야겠다.”
교통비는 작지만 지속적으로 지출되는 생활비입니다.
나에게 맞는 절약 습관을 찾아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죠.
사실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혜택 때문에 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매달 한꺼번에 묻어 나오는 결제액 때문에 실감을 못하고 있을지도 모르겠어요.
어쩌면 충전식 선불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스마트한 교통카드 활용법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기본 교통비는 줄일 수 없는 것 아니냐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대신 교통비 지출을 체감하게 되면 다른 비용을 줄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 커피를 하루 한 잔만 마신다거나, 저가 커피로 전환하는 방법 등이 있겠죠. ㅎㅎ
여러분은 어떤 교통카드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골드바 구매한 것도 연말 정산 때 환급이 가능 할까?
골드바 구매한 것도 연말 정산 때 환급이 가능 할까?
골드바를 구매한 후 연말정산에서 세금 환급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올해 제 지인도 골드바를 6000만 원어치를 구매하고 일단 현금 영수증을 받아왔다면서 환급여부를
ozdorothyco.com
🌈왜 난 돈을 못 모을까? 월급쟁이의 지출 습관, 지금 바꿔야 할 것들
왜 난 돈을 못 모을까? 월급쟁이의 지출 습관, 지금 바꿔야 할 것들
요즘처럼 금리가 높고 물가는 계속 오르는 시대에 '재테크'라는 단어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 되어가고 있는데요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는 돈이 있어야 하는 것', '어렵고 복잡
ozdorothyco.com
'일상 >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 중 저녁을 6시에 먹는 이유, 2025 최신 과학 근거 정리 (6) | 2025.07.09 |
---|---|
Weird but Works, Doenjang Pasta and Sesame Oil Ice Cream (0) | 2025.07.08 |
횡단보도 바닥 화살표, 단순 디자인이 아닌 생활 속 과학 (2) | 2025.06.30 |
책 읽고 돈 받는 시대? 경기도 '독서포인트제' 완전 정리 (9) | 2025.06.28 |
복지 지원 사칭 광고 주의! ‘노인복지카드 생활비 10만원’ 메시지, 진짜일까? (4) | 2025.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