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해요 영문법 7탄, if vs whether 차이가 있나요?

랄랄라 oz 2025. 8. 31.
반응형

📝이 글은 [궁금해요 영문법]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사소하지만 혼동되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이 문장도 그렇죠.

“I’m not sure if/whether he likes chocolate or not”형용사 sure은 동사도 아닌데, 어떻게 명사절이 목적어처럼 올 수 있을까요?

궁금했던 그대를 위해, if와 whether의 차이와, 명사절의 역할까지 차근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if와 whether, 언제 사용하나요?

줄노트-위에-클립 가득-I'm-not-sure-if..-라고-쓰여있는-클립으로-고정된-노란색-포스트-잇-한장

 

먼저 기본부터 살펴볼게요. ifwhether는 모두 명사절을 만드는 접속사입니다.

특히 의문문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간접의문문에서 많이 쓰이죠.

  • I don’t know if he likes chocolate. → 나는 모른다, 그가 초콜릿을 좋아하는지
  • I don’t know whether he likes chocolate. → 나는 모른다, 그가 초콜릿을 좋아하는지

 

이처럼 의문사 (who, when, where 등)가 없을 때 두 문장을 연결해 줘요.

두 문장 모두 올바른 표현이고, 의미상으로도 큰 차이는 없습니다.

 

2. 명사절(Noun Clause) 간단 정리

명사절은 이름 그대로 문장에서 명사처럼 행동하는 절을 말합니다.

즉, 주어, 목적어, 보어 등 명사가 올 수 있는 자리에 들어갈 수 있어요.

 

  • That he likes chocolate / is obvious. → 그가 초콜릿을 좋아하는 것은 분명하다. (주어 역할)
  • I know that he likes chocolate. → 나는 안다, 그가 초콜릿을 좋아한다는 걸 (목적어 역할)
  • I’m sure that he likes chocolate. → 나는 확신한다, 그가 초콜릿을 좋아한다고 (보어 역할)

 

명사절은 보통 that, if, whether, wh-의문사(what, why, how 등)로 시작합니다.

 

3. or not과 함께 쓸 때의 차이

많은 학습자가 혼동하는 부분 중 하나는 or not을 붙일 때입니다.

 

  • I’m not sure whether he likes chocolate or not. ✅
  • I’m not sure if he likes chocolate or not. ❌ (권장되지 않음)

 

or not과 함께 쓸 때는 whether를 쓰는 것이 공식적이고 자연스러운 문장입니다.

 

4. sure 뒤에 명사절이 오는 이유

학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이 바로 이겁니다.

“sure은 동사도 아닌데 어떻게 명사절이 목적어처럼 올 수 있지?”

쉽게 말하면, sure은 형용사입니다. 그리고 형용사 sure 뒤에 if/whether처럼 명사절을 붙여서 의미를 완성할 수 있어요.

즉, 명사절이 문장에서 마치 목적어처럼 보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형용사의 의미를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 I’m sure that he likes chocolate
  • I’m not sure whether he likes chocolate or not

 

5. 공부 팁 및 마무리

 

  • if와 whether는 명사절을 만들 때 호환 가능하지만, or not을 붙일 경우 whether 사용 권장
  • sure는 형용사이며, 뒤에 명사절을 보충해서 문장 의미를 완성할 수 있음
  • 명사절은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함

 

영어 문장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처음에는 오히려 더 헷갈리고 궁금한 게 생기기도 하지만, 누구나 겪는 과정이고, 노력은 헛되지 않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감이 쌓이는 나를 느낄 수 있을 거예요.

오늘 정리한 if/whether과 sure + 명사절 활용법을 기억하고, 오늘 공부도 클리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