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ant to Teach English in Korea? Real Advice from a Manager Who's Been There '한국에서 영어교사로 일하고 싶은 당신에게' 관리자가 전하는 현실 조언과 준비 팁

랄랄라 oz 2025. 6. 17.
반응형

몇 년간 학원에서 외국인 영어 교사들을 직접 채용하고 관리한 경험이 있습니다.

서류 착오, 보험 가입 누락, 계약 불일치 등 여러 문제를 실제로 많이 겪었죠.

이 글은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영어 교사로 일하고자 하는 분들께 관리자의 시선에서 도움이 될 만한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열심히-칠판-챠트에-대해-설명하시는-선생님

 

Having hired and managed foreign English teachers for several years at a language institute, I’ve witnessed many common issues — document errors, missed insurance sign-ups, contract misunderstandings.

This post shares insights from a manager’s point of view to help new teachers succeed in Korea.

 

1. E-2 비자 준비 – 관리자 관점 핵심 체크리스트
Step 1. E-2 Visa Documents 'Manager’s Checklist'

 

비자-지도-수첩이 펼쳐진-그림

한국에서 영어교사로 일하려면 서류 준비부터 꼼꼼히 시작해야 해요.
특히 비자 발급 과정은 처음 접하는 분들께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으니, 아래 체크리스트를 꼭 참고하세요.

 

Getting your documents right is the very first and most important step to teaching in Korea.
The visa process can feel overwhelming at first, so be sure to go through this checklist carefully.

  • 원어민 국적 및 학사 이상 학위 (미국, 캐나다, 영국 등 7개국)
    Native citizenship + Bachelor’s degree from an English-speaking country (U.S., Canada, U.K., etc.)
  • 학위·범죄경력조회서에 아포스티유 필수
    Apostille required for both diploma and national criminal background check
  • 여권 유효기간 6개월 이상, 사진 규격 3.5 ×4.5cm
    Passport valid for 6+ months; passport-style photo (3.5 ×4.5cm)
  • TEFL/TESOL 자격증 (우대사항)
    TEFL/TESOL certification (preferred, especially for public school or premium academies)
  • 건강검진 증명 – 입국 후 실시
    Health check certificate, conducted after arrival (TB, drug screening)

 

2. 비자 절차와 실무 팁
Step 2. Visa Process 'Practical Flow'

  1. 학원과 계약 후 비자발급 승인번호(issuance number) 신청
    Contract with school → School requests visa issuance number
  2. 출입국청에서 승인 → 교사는 해당 번호로 본국 영사관 신청
    School gets approval from immigration → Teacher applies at Korean consulate with issuance number
  3. 2–3주 후 비자 발급 → 입국 후 건강검진 및 외국인등록증 신청
    Visa issued in 2–3 weeks → Health check + apply for ARC after arrival

 

관리자 팁: 원본 복사본 준비, 승인번호 정확히 전달, 입국일 맞춰 건강검진 예약 필수
Manager’s Tip: Prepare clean scans of originals, double-check issuance number, pre-schedule health exam near arrival date.

 

3. 보험과 적응, 현장 경험 기반 조언
Step 3. Insurance & Adapting, Based on Field Experience

입국 후 외국인등록 완료 시 자동 가입되는 국민건강보험과 공백기 대비를 할 수 있는 사설보험이 있다.

 

Once you complete your foreigner registration after arriving in Korea, you will be automatically enrolled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S).

However, to cover the period before your employment begins, it's wise to consider a private insurance plan for any potential coverage gap.

 

국민건강보험 (NHIS), National Health Insurance

내과·응급·입원 진료 대부분 보장한다.
Covers general, emergency, and inpatient care

 

사설보험, Private Insurance

비급여 진료, 공백기 대비할 수 있다.
Useful for non-covered services (dental, vision) or waiting periods

 

4. 실질적 적응 조언, 관리자 입장에서 본 꿀팁
Step 4. Settling In, What Helps Based on My Experience

새로 온 외국인 선생님들이 낯선 환경에 덜 당황하고, 좀 더 편하게 시작할 수 있도록 제가 직접 해보고 효과 있었던 팁들을 소개할게요!

 

Here are some tips that I’ve personally tried and found helpful, to make things a little less overwhelming and a lot more comfortable for new foreign teachers!

  • 1:1 멘토 지정 – 선임 교사와 매칭하면 문화적 적응이 빨라짐
    Pairing new teacher with a senior mentor helps cultural and work adaptation
  • 은행 계좌 + 휴대폰 개통 지원 – 첫 주 스트레스 줄이는 데 효과적
    Help with bank account and phone setup to ease Week 1 stress
  • 오리엔테이션 자료 제공 – 지하철, 병원, 응급 상황 매뉴얼
    Provide orientation materials on transport, clinics, emergencies

[추천 영상  Suggested Video]

 

▼영상 핵심 내용 정리▼

“What Teaching University English in Korea is REALLY Like in 2025” 영상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현실을 요약했습니다. 외국인 강사와 한국 교육 환경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내용입니다.

 

Based on the video "What Teaching University English in Korea is REALLY Like in 2025", this summary outlines the reality of teaching English at Korean universities. It provides helpful insights for those interested in the experiences of foreign instructors and the Korean education system.

 

 


 

한국에서 영어를 가르친다는 것, 특히 어린이를 상대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근무하는 원어민 선생님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불만 중 하나는 ‘우리를 리스펙트 하지 않는다’는 점인데, 이 문제는 언어적인 장벽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는 점을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

사실 우리 한국인도 같은 상황에서 비슷한 감정을 느낄 때가 많기 때문입니다.

1년 이상 꾸준히 근무를 원하시는 원어민 선생님들은 이 부분에 대해 미리 충분히 고민해 보시길 권합니다.

 

Teaching English in Korea, especially working with children, can be more challenging than many expect.

One of the most common complaints from native teachers is feeling a lack of respect, but this often stems from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misunderstandings.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we Koreans also experience similar feelings in certain situations.

For native teachers planning to stay longer than a year, I strongly encourage you to reflect deeply on this aspect before committing.

 

결론, Conclusion

이처럼 현장의 어려움과 문화 차이를 잘 이해하고 준비한 교사는 더욱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근무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본 바로는, 준비가 철저한 교사가 가장 안정적인 근무를 할 수 있으며 재계약률도 높았습니다.

 

Understanding and preparing for these challenges leads to a smoother and more rewarding teaching experience.

In my experience, the most prepared teachers enjoyed the smoothest and most successful terms and have higher chances of getting rehired.

반응형

댓글